<aside>
⛵ 우리들의 실전 프로젝트를 세상에 공개하는 시간이 왔습니다!
</aside>
- 최종 발표 주간은 우리의 서비스를 엔지니어답게 정리하는 기간입니다.
- 잘 정리된 프로젝트는 행사에 방문해주신 분들께 브로셔(팜플렛 형태)로 전달됩니다.
- 그동안의 노력을 모든 동료들과 공유하며 뽐내 봅니다! 멘토님, 수료생들도 여러분의 부스로 방문하셔서 깜짝 기술 면접을 진행하실 수 있어요.
최종발표/포트폴리오 참고자료
<aside>
📑 협력사 전달 프로젝트 브로셔 제작 : 9/4(월) 13:00까지
브로셔 작성 링크 : [항해99] 15기 최종발표회 브로셔
</aside>
-
서비스팀
브로셔 작성 목록 안내
- 서비스 카테고리
- 서비스명
- 도메인(IP) 주소
- 서비스 한 줄 설명
- FE/BE Github
- 서비스 브로셔 작성 (최상단 이미지/ 아키텍쳐/기술적의사결정/트러블슈팅)
- 브로셔 본문 최상단 이미지 (600*340)
- 예시
- 로고 파일 (160*160) : 노션 맨 아래 넣어주세요
-
챌린지팀
브로셔 작성 목록 안내
- 프로젝트 카테고리
- 프로젝트명
- 도메인(IP) 주소
- 프로젝트 한 줄 설명
- Github
- 브로셔 작성 (아키텍쳐/기술적의사결정/트러블슈팅/성능개선내용 등)
- 자랑하고 싶은 주요 기능과 기술
top5 선정
- 예시
- 로고 파일 (160*160) : 노션 맨 아래 넣어주세요
<aside>
📑 발표 영상 제출
1차 발표 영상 제출 : 9/5(화) 15:00까지 (영상 피드백은 수요일에 전달)
최종 발표 영상 제출 + 간단 소개 영상 : 9/7(목) 17:00까지
발표 영상 촬영 가이드
</aside>
1️⃣ 개요
- 여러분은 발표 영상, 간단 소개 영상, 실시간 발표를 준비해주셔야 합니다.
- 발표 영상: 항해99 전시회 페이지에 첨부
- 간단 소개 영상: 최종발표회 조별 부스 앞 tv object에서 시청하는 영상
- 실시간 발표: 최종 발표회 당일 실시간으로 진행하는 발표(타임테이블 별도 안내)
2️⃣ 발표 영상 제작 가이드 및 참고 자료
Dos |
Don’ts |
- 상태관리 툴에는 redux, toolkit, query, recoil이 있는데, 우리 서비스의 특성상 ~~의 장점, ~~의 단점을 가진 ~~을 차용했습니다. |
|
- 우리 서비스는 경매사이트라서, 1분간 최대 n명의 사용자까지 몰릴 수 있다고 판단하여 대규모 트래픽을 핸들링하기위해 ~~ 아키텍처를 적용했습니다. 실제로 n명까지 테스트해봤으며 이렇게 개선했습니다. | - 형상 관리로 github 사용했습니다.
- 상태관리로 toolkit을 사용했습니다. |
| 사업성을 증명하는 사업설명회가 아닙니다. 엔지니어로서의 자질을 뽐내는 자리입니다.
즉, "우리가 만든 서비스, 멋지죠?"가 아닌 **"이런 서비스를 만든 우리, 멋지죠?"**가 되어야 합니다. | 발표는 나의 스토리를 얘기하는 것입니다.
일반적인 기술 설명은 빼는 것이 좋습니다.
예) "이 부분은 express로 구현했습니다. Express란~~ 기술 설명" → No! 🚫 |
| 발표자료 및 영상에 그래픽, 차트, 다이어그램 등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하세요. 이를 통해 내용을 더욱 명확하고 흥미롭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. | 발표영상에서는 시각적인 자료를 사용할 때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혼란스러운 그래픽을 피해야 합니다. 시청자들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원합니다. |
| 자막을 꼭 작성해주세요! | |
3️⃣ 발표시간은 9분입니다. 이 9분은 아래와 같이 구성해주세요!
서비스팀
- 30초 : 인사 / 서비스 기획 및 배경 설명
- 2분 30초 : 서비스 시연
(Show! / 개그도 조금 섞어도 ok 프로젝트 기능 소개!)
- 1분 : 서비스 아키텍처 및 기술 도입 배경
- 3분 30초 : 기술적인 도전 및 트러블 슈팅
- 30초 : 마무리 인사
챌린지팀
- 30초 : 서비스 기획 배경 설명
- 1분 : 서비스 시연 영상
- 2분 : 서비스 아키텍쳐 설명 및 기술 도입 배경
- 3분 30초 : 기술적인 도전 및 트러블 슈팅
- 2분 : 성능개선 사항
- 발표 가이드 상세
4️⃣ 간단 소개 영상